 |
타이어펑크 시 |
 |
1. 자동차를 평탄한 곳에
주차한다.
2. 잭을 들어 올리기 전에 훨너트를 약간씩풀어 놓는다.
3. 잭을 들어올린다.
4. 너트를 빼고 타이어를 교체한다.
5. 너트를 적당히 조인 다음 잭을 내린다.
6. 끝으로 너트를 힘을 주어 조인다. |
|
|
 |
차량 시동이 걸리지 않을때 |
 |
1. 엔진이 회전을 하면서
시동이 안돼는 지 회전을 하지 않는지를 확인한다.
2. 밧데리가 방전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는 다른 차량의 도움으로 점프를 하는 방법이 있다.
3. 이외에 스타트모터의 고장이나 제네레이터 고장으로 인한 시동 불능이거나 연료부족 또는 전기장치에 의한 시동
불능일 경우엔 보험회사나 근처 카센터에서 수리를 받는다. |
|
|
 |
파킹브레이트가 풀리지 않을 때 |
 |
1. 주로 겨울철에
파킹브레이크가 풀리지 않을 경우가 있는데 노후된 파킹브레이크 케이블이 추위로 인해 얼어붙어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
2. 이런 경우엔 따뜻한 물로 파킹브레이크 케이블을 녹여서 움직이도록 하거나 근처 카센터에서 정비를 받도록 한다 . |
|
|
 |
주행도중 오일 체크 램프에 경고등이 점등될 때 |
 |
1. 즉시 차량을 한적한 곳에 정차시키고 시동을 끈 다음 본내트를 연다.
2. 오일레벨 게이지로 오일량을 측정하여 레벨 게이지의 최대선과(H) 최소선(L) 사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3. 오일이 부족할 경우엔 오일을 보충하고, 오일이 정상인데도 경고등이 점등될 경우엔 근처 카센터에서 수리를 받는다. |
|
|
 |
전조등이 점등되지 않을 때 |
 |
1. 먼저 휴즈를 점검하고
휴즈에 이상이 없을 경우엔 라이트를 손으로 두들겨본다.
2. 휴즈가 나갔을 경우 안개등이나 상행등을 켜고 주행하되 램프상단에 테이프를 붙여 상대방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
|
|
 |
연료가 떨어졌을 때 |
 |
1. 먼저 휴즈를 점검하고
휴즈에 이상이 없을 경우엔 라이트를 손으로 두들겨본다.
2. 휴즈가 나갔을 경우 안개등이나 상행등을 켜고 주행하되 램프상단에 테이프를 붙여 상대방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
|
|
 |
충전경고등에 경고등이 점등될 때 |
 |
1. 발전기에서 축전지로
충전이 안되는 경우로 팬 벨트가 끊어졌거나 발전기 자체의 이상이 생긴 경우이다.
2. 팬 벨트가 끊어진 경우에는 스타킹을 두겹으로 단단히 조여 묶는 것으로 임치조치를 할 수 있고, 팬 벨트가 느슨한 경우
에는 발전기에 있는 조정 볼트넛을 돌려서 벨트의 장력이 7에서9mm 정도가 되도록 한다. |
|
|
 |
수동변속기 차량의 경우, 기어변속이 잘 되지 않을 때 |
 |
1. 케이블식 클러치의
경우엔 클러치의 케이블이 끊어졌거나 유격이 과다해서이며, 유압식 클러치는 리저브탱크의 오일이
부족해서이다.
2. 이런 경우 누유 정도가 적으면 클러치액을 보충하고 더블클러치를 밟아 주면 기어가 들어간다.
3. 클러치액을 보충한 다음에는 반드시 페달을 여러번 반복해서 밟아주어 공기를 빼내주어야 한다. |
|
|
 |
와이퍼가 작동하지 않을 때 |
 |
1. 보통 와이퍼용 휴즈가
끊어진 경우나 모터가 작동이 되지 않는 경우이다.
2. 휴즈가 끊어진 경우에는 운전석 왼쪽 아래의 휴즈박스에서 휴즈를 점검하여 갈아준다.
3. 이외의 경우에는 담배가루나 물에 젖은 나뭇잎을 뭉쳐서 닦아주면 임시용으로 가능하다.
4. 만약 비누가 있다면 전면유리에 비눗물을 발라주면 된다. |
|
|
 |
우천으로 백미러가 보이지 않을 때 |
 |
1. 유리용 코팅제가 있을
때는 이를 발라 주는 것이 좋으나 일반적으로 비치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담배꽁초를 문질러 주면
빗방울이 맺힘을 어느정도 막을수가 있다. |
|
|
 |
시동키가 돌아가지 않을 때 |
 |
1. 주차시 키를 뺀 다음
핸들을 움직였기 때문에 핸들이 잠금상태로 잠겨 있는 상태이다.
2. 이런 경우엔 무리하게 시동키를 돌리지 말고 가볍게 좌우로 핸들을 돌리면서 키를 움직여주면 잠금장치가 풀리면서
시동키가 돌아가게 된다. |
|
|
 |
시동을 껐다가 재시동 시 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 |
 |
1. 주로 여름철에 시내
저속 운행 시 또는 장시간 운행 시에 시동이 갑자기 꺼지거나 잠시 세워둔 차의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가 있다. ?
2. 이런 경우엔 연료계통의 연료가 증발되어 발생되는 베이퍼 록 또는 퍼콜레이션 현상으로 여름철에 발생하기 쉬운 일반적
사항이며 불량 연료를 주입했을 경우에 특히 잘 발생한다.
3. 이때에는 자동차에 발생한 열을 식혀주면 된다. 보닛을 열여 약 10분 정도 기다리거나 연료장치 부분을 차가운
물수건으로 적셔 열이 빨리 식도록 조치한다. |
|
|